2/23/2025
[설교노트 / Sermon notes]
제목: “하나님의 형상과 인간의 죄”
본문: 이사야 6:8Title: "The Image of God and Human Sin"
Text: Isaiah 6:8
Preacher: Jeongsub Choi
1.성경본문 읽기 / Read the Bible
- 더 이해가 잘 되는 언어로 읽어주세요
- Read it in a language that makes more sense to you
(사 6:8, 새번역) “그 때에 나는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음성을 들었다. "내가 누구를 보낼까? 누가 우리를 대신하여 갈 것인가?" 내가 아뢰었다. "제가 여기에 있습니다. 저를 보내어 주십시오."”
(Is 6:8, NIV11) “Then I heard the voice of the Lord saying, “Whom shall I send? And who will go for us?” And I said, “Here am I. Send me!””
10. 감사 / gratitude
한 주간 감사한 사람들, 감사한 일을 생각해 봅니다.
Think about the people and things you are grateful for during the week.-감사한 사람들/ People to thank:
-감사한 일들 / Things to be thankful for:스치는 것들에 감사하자!
Be grateful for the little things!그 만남, 그 빛, 그 소리, 그 따뜻함, 새힘 주심, 그 공동체, 그 에너지, 그 떨림 …
The encounter, the light, the sound, the warmth, the renewal, the community, the energy, the trembling.
11. [지난 주일 말씀 / Last Sunday's Sermon]
지난 주일 말씀을 리뷰하면서 지난 주일 예배를 통하여 결단하고 헌신했던 것들을 하나님 앞에서 다시 살펴보고, 감사기도 및 재헌신 하십시다.
As you review last Sunday's sermon, review with God the commitments you made in worship last Sunday, and pray thanksgiving and rededication.
12. 말씀 리뷰 / Message Review
“하나님은 나의 존엄성을 위해서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의 열매를 먹지 말라’는 말씀을 주셨습니다.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나로 하여금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지음 받은 존재지만, 내 자신이 하나님은 아니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하나님은 나를 자발성과 책임성을 가지고 하나님의 명령을 따르며 살도록 하나님이 나에게 주시는 영감을 받아 언제든지 영적인 initiative를 갖도록 하셨다. 이것이 인간인 나에게 딱 맞는 존엄성입니다. “
“For the sake of my dignity, God said, "Do not eat of the fruit of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teaches me that I am made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but that I am not God.
God made me to have spiritual initiative at any time, inspired by God to live by His commands with spontaneity and responsibility. This is the dignity I deserve as a human being.”
[메시지 주제별 순서] Order by message topic
20. 하나님의 형상 / Image of God
30. 인간의 죄 / Human sin
20. 하나님의 형상 / Image of God
하나님은 어떤 분일까요?
오늘은 구약에서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아보겠습니다.What is God like? Today, we'll explore what God is like as the creator of humans in the Old Testament.
21. “우리”라는 하나님 / God as "we"
: 하늘의 거룩한 회의 (heavenly divine council)중에 있는 복수의 모습
The figure of the plurality during the heavenly divine council
먼저, 아래의 말씀을 다 같이 읽겠습니다.
First, let's read the following statement together
(창 1:1, 새번역)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
(창 1:26-28, 새번역) “「26」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 "우리가 우리의 형상을 따라서, 우리의 모양대로 아담(사람)을 만들자. 그리고 그가,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 위에 사는 온갖 들짐승과 땅 위를 기어다니는 모든 길짐승을 다스리게 하자" 하시고,
「27」 하나님이 당신의 형상대로 아담(사람)을 창조하셨으니,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하나님이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
「28」 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베푸셨다. 하나님이 그들에게 말씀하시기를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여라. 땅을 정복하여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 위에서 살아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려라" 하셨다.”(Gn 1:1, NIV11) “In the beginning God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Gn 1:26-28, NIV11) “「26」 Then God said, “Let us make mankind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so that they may rule over the fish in the sea and the birds in the sky, over the livestock and all the wild animals, and over all the creatures that move along the ground.”
「27」 So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the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28」 God blessed them and said to them, “Be fruitful and increase in number; fill the earth and subdue it. Rule over the fish in the sea and the birds in the sky and over every living creature that moves on the ground.””
[21-1] 천지를 창조하신 하나님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아담(사람)을 만드십니다. 이렇게 아담(사람)을 만드신 하나님은 스스로를 “우리”라고 표현합니다.
구약성경에서는 이렇게 하나님을 “우리”라고 표현하니다.
오늘 우리가 읽은 본문인 이사야서의 말씀을 다시 봅시다.
이사야 6장에서도 하나님은 “우리”로 표현하십니다.
[21-1] God, who created the heavens and the earth, made Adam (man) in God's image. In this way, God, who made Adam (man), expresses himself as "we".
This is how God is referred to as "we" in the Old Testament.
Let's look again at the words of Isaiah, our reading today.
In Isaiah 6, God is also referred to as "we".(사 6:8, 새번역) “그 때에 나는 주님께서 말씀하시는 음성을 들었다. "내가 누구를 보낼까? 누가 우리를 대신하여 갈 것인가?" 내가 아뢰었다. "제가 여기에 있습니다. 저를 보내어 주십시오."”
(Is 6:8, NIV11) “Then I heard the voice of the Lord saying, “Whom shall I send? And who will go for us?” And I said, “Here am I. Send me!””
한마디로, 구약에서 보여주시는 “우리”의 하나님은 “하늘의 거룩한 회의”를 주관하시는 카운슬의 모습입니다.
In a word, the God of "us" shown in the Old Testament is a picture of a council presiding over a "holy meeting in heaven."
21. 오직 사람만 하늘의 회의를 통해 창조됨
/ Only man was created through a council in heaven
창세기 1장에서 오직 사람만 하늘의 회의를 통해 창죄되었을 보여줍니다. 전통적으로 “우리”라는 복수를 “특별한 복수 형태”라고 해석하지만, 하늘의 회의라는 맥락에서는 “의사소통의 복수 형태”라는 표현이 더 좋습니다.
어떤 신학자는 “심사숙고의 복수 형태”라는 표현을 썼습니다.
Genesis 1 shows that only man would have been condemned in a heavenly council. Traditionally, the plural "we" is interpreted as a "special plural form," but in the context of the heavenly council, it is better described as a "communicative plural form." One theologian coined the phrase "plural forms of deliberation".
21-1. 심사숙고하여 인간을 창조하심 / God deliberately created humans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하실 때, 심사숙고의 모습 즉 의논하시고 회의하시는 모습을 가지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왜 인간을 지으실 때 이렇게 심사숙고 하셨을까요?
When God created man, He had in mind a deliberative mind, a mind that deliberates and conferred. Why would God be so deliberate in creating humans?
(창 1:27, 새번역) “하나님이 당신의 형상대로 아담(사람)을 창조하셨으니,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하나님이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
(Gn 1:27, NIV11) “So God created mankind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the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이 구절에서는 ‘창조하다’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동사 ‘바라’가 세 번 나옵니다.
“하나님이 사람을 그분 형상대로 창조하셨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그분이 그를 창조하셨다."
"남자와 여자로 그분이 그들을 창조하셨다” 입니다.세 문장 모두 하나님이 사람을 창조하셨다는 내용이지만, 점점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점층법입니다.
The Hebrew verb "barah," which means "to create," appears three times in this passage: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and "male and female he created them." All three sentences are about God creating people, but they are increasingly specific.
All three sentences say that God created man, but they are increasingly specific. These phrases are a way of building up the specificity of the meaning.
21-2. 복수로 아담(사람)을 창조 / Create people in plural
창세기 1장 27절의 강조적인 표현은 사람 창조의 중요한 특성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는 말씀의 구체적 의미는 ‘남자와 여자’로, ‘그들’로, 즉 복수로 창조하셨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이 실질적인 의미는 복수로 존재하는 사람입니다. 저는 종종 하나님이 태초에 만드신 모습중에 “부부” 또는 ”가정”을 만드셨다는 것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말씀을 통해서 우리는 더 근본적인 의미를 발견하게 됩니다. 그것은 하나님이 태초에 만드신 것은 “관계” 또는 “공동체”라는 것입니다.
The emphatic wording of Genesis 1:27 reveal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creation of man.
Thus, the specific meaning of the statement that God created man in his image and likeness is that he created him in "male and female" and in "them"-that is, in the plural.
The practical meaning of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is that there is a plurality of people. I have often emphasized that what God created in the beginning was a "couple" or "family," but in today's passage we find a more fundamental meaning: what God created in the beginning was a "relationship" or "community."
21-3. 유일하게 “좋지 않다”라고 표현 하신 것 / The only thing God described as "not good"
창세기 1-2장에서 ‘좋다’는 표현이 9번 나옵니다. 그런데 유일하게 '좋지 않다’로 표현한 것이 “아담(사람)이 혼자 사는 것” (창 2:18)입니다.
복수형의 하나님이 복수의 사람을 만드셨습니다. 함께 살아가는 관계,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가 바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의 본질입니다.
창세기 5장 2절에서 복수형으로 존재하는 이들을 ‘아담’이라고 부르셨습니다. 그러므로 ‘아담(사람)이 혼자 사는 것’이 좋지 않다고 하신 것입니다.
(창 5:2, 새번역) “하나님은 그들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 그들을 창조하시던 날에, 하나님은 그들에게 복을 주시고, 그들의 이름을 '아담 (사람)'이라고 하셨다. ”
In Genesis 1-2, the word "good" is used nine times, and the only time it is used to describe something as "not good" is "Adam (man) was alone" (Gen. 2:18).
The plural form of God made a plurality of people. Relationships, living together, community, is the essence of being human, made in the image of God.
In Genesis 5:2, the plural person is called "Adam," which is why God said it was not good for "Adam (man) to be alone.
(Gn 5:2, NIV11) “He created them male and female and blessed them. And he named them “Mankind(Adam)” when they were created.”
22. 하나님의 형상은 교회 공동체를 통해 구현됩니다.
/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is embodied in Church - community.
처음에는 남자와 여자 두 사람만 존재했지만, 그들의 존재와 삶은 이 땅에 드러난 하나님의 형상이었습니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르는 삶을 홀로 살아갈 때는 구현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은 함께 모인 공동체, 즉 ‘관계’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는 교회가 무엇이냐를 알려주는 에베소서 1:23절의 말씀을 좀더 깊게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며 만물 안에서 만물을 충만하게 하시는 이의 충만함이니라”(엡 1:23)는 말씀의 의미는 "교회라는 공동체와 그안에서의 관계를 통해서" 하나님의 형상을 알아가고, 그리스도의 형상을 드러낼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오직 공동체를 통해서만 그리스도가 드러남을 받아들이시길 바랍니다. 관계야말로 그리스도가 드러나는 통로이며, 관계야말로 하나님의 형상의 본질입니다.In the beginning, there were only two people, a man and a woman, but their existence and lives were the image of God revealed on earth. Therefore, we cannot live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when we live alone.
We see that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can only be lived out in community, or "relationship," when we come together. This gives us a deeper understanding of Ephesians 1:23, which tells us what the church is.
"When it says, "The church is the body of Christ, the fullness of him who fills all in all" (Eph 1:23), it means that it is through the community of the church and the relationships within it that we can come to know God's image, that we can manifest the image of Christ.
It is only through community, then, that Christ is revealed. Relationships are the channel through which Christ is revealed, and relationships are the essence of the image of God.
23. 공적 신앙 / "public faith"
성경의 하나님을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신자들의 삶은 어떻해야 할까요?
신앙은 수많은 관계 안에서 함께 살아가며 하나님의 형상을 이루기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공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렇게 함께 살아가는 존재의 근거는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았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피부색이나 민족, 인종, 종교가 다르더라도 사람은 근본적으로 상대를 인정하고 존중하며 함께 살아가야 하는 공적 존재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출발부터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공적 신앙’입니다. 그리고 개인 이기주의와 가족 이기주의, 신앙을 기반으로 한 집단 이기주의, 민족과 나라를 중심에 둔 민족주의는 모두 성경에 비추어 볼 때, 근본적으로 부적절하며 온전치 못한 개념입니다.
본회퍼는 "교회는 공동체로서 존재하는 그리스도다"라는 강력한 주장을 하면서, "교회는 세상을 위해 존재한다"라는 교회의 공적 사명을 강조하였습니다.
이 것은 주님께서 말씀하신 "신자(교회)는 세상의 빛이다"라는 말씀의 뜻을 분명히 한 것입니다.
What should the life of a believer in the God of the Bible and a follower of Jesus Christ look like?
Faith is fundamentally "public" in that we live together in a myriad of relationships, seeking to fulfill the image of God.
The basis for this shared existence is that all people are made in the image of God, so people of different colors, ethnicities, races, and religions are fundamentally public beings who must live together with recognition and respect for one another.
Faith in Jehovah God is a "public faith" that is meant to be lived together from the outset, and individual selfishness, family selfishness, faith-based collective selfishness, and nationalism centered on ethnicity and nation are all fundamentally inappropriate and incomplete concepts in light of Scripture.
Bonhoeffer made the powerful claim that "the church is Christ in community" and emphasized the public mission of the church as "the church is for the world."
This is a clarification of the meaning of the Lord's words, "The believers (the church) are the light of the world."
30. 인간의 죄 / Human sin
인간의 죄는 절대적인 죄를 상대화 시키는 것입니다. 절대적인 하나님의 기준을 상대적인 자기의 기준으로 축소하거나 과장하는 것입니다.
오늘 하나님의 형상에 대해서 말씀을 들었습니다. 인간의 죄는 하나님의 형상을 거부하고 하나님이 창조하신 질서를 거스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심사숙고하여 공동체의 인간을 창조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신자의 삶에도 하나님이 보여주신 공동체로서 “함께 의논하고 심사숙고”하는 공동체를 이루어 가도록 합시다. 죄는 이러한 모습을 따라가지 못하는 것입니다.
또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공동체를 “하나님이 충만하게 거하시는 곳”이 되도록 하십니다. 교회가 하나님의 것으로 충만하지 않은 것이 죄의 모습입니다.
마지막으로, 공적인 신앙의 중요성을 알아, 개인과 가정과 사회와 교회에서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삶이 되도록 헌신합시다. 교회도 자기이 교회만을 강조하는 죄의 모습으로 빠질 수 있습니다.
주님이 지으신 그 목적대로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되기를 축복합니다.
Human sin is the relativization of the absolute; it is the reduction or exaggeration of the absolute standard of God to the relative standard of self.We heard today about the image of God. Human sin is the rejection of the image of God and the rebellion against the order of God's creation.
God created human beings to be deliberative and community-minded, so let the believer's life be the community that God has shown us, a community that "deliberates and considers together."
Sin is a failure to live up to this pattern.
God also intends for the community He entrusts to us to be "a place where God dwells in all His fullness." Sin is when the church is not filled with God's things.
Finally, let u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ublic faith and commit ourselves to living it out together as individuals, in our homes, in society, and in the church.
The church can also fall into the sin of emphasizing itself.
May we all be what the Lord created us to be..
31. 말씀으로 관계를 세우게 하소서 / Build relationships with the Word
*영적 성장을 보여 주는 그림이 있는 교회
Churches with pictures that show spiritual growth
*QT 와 일대일 성경 공부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one-on-one Bible study with QT
[50. 개인 헌신 기도] Personal devotional prayer
오늘 말씀을 듣고 삶에 결단하며 헌신하겠다고 한 것을 주님께 말씀 드리고 주님께 도움을 구하는 기도를 하시길 바랍니다.
I encourage you to tell the Lord what you have decided to commit to in your life as you listen to today's message and pray to Him for help.